지난 8월 27일 <개청춘>의 초청 시사회를 하루 앞둔 8월 26일. 준비를 위해 분주한 반이다 사무실 현장을 본지에서 단독으로 취재했다. 영화를 만드는 작업실이라는 것이 무색하게 사무실에서는 가내수공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.
은근히 맞추기 어렵다는, 제작 전 책갈피 풍경 |
주워온 합판은 이럴 때 쓰는 것! |
좌우상하 잘 맞추어 자르기 |
자 대신 파일첩을 사용하는 현장 |
수북히 쌓인 |
반이다 멤버들이 수제작하고 있었던 것은 다름아닌 책갈피. 앞으로 있을 시사회와 홍보를 위해 책갈피를 제작하고 있는 중이라고 한 멤버가 말문을 열었다. 보통은 이런 걸 제작하게 되면 인쇄소에 맡기거나 하지 않냐고 묻자, 반이다 멤버들은 당황하면서 '우리가 돈이 없어서 그러는 게 아니라 우리의 땀과 정성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싶었다'고 전했다. 심지어 한 멤버의 경우 왕복 세 시간 정도 걸리는 출퇴근 시간을 이용해 지하철에서 내내 책갈피를 제작해, 주변 사람들에게 '불쌍한 20대'의 모습을 각인 시켰다고 한다.
미니 펀치로 |
지하철에서 구멍을 뚫는 |
다음날 출근길에는 구멍에 노끈을 끼운다 |
손에 노끈 냄새가 배었다는 |
직접 만든 책갈피만이 아니라 영화 속에서 나오는 반이다 역시 지나치게 불쌍한 설정을 한 게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여있다. <개청춘>을 관람한 관객들 중 한 분은 반이다의 점심먹는 장면을 보고, '이 영화를 보기 전에 명동에서 저녁 사 먹고 운동화 쇼핑도 했는데, 내가 이렇게 여유부리며 살아도 되나'라는 급반성을 했다고 하고, 또 다른 분은 뭐라도 도와줘야겠다며 후원금통에 익명으로 돈을 넣어두고 가시기도 했다. 이에 반이다는 자신들은 재미있는 장면이라고 생각해서 넣었는데, 사람들이 너무 슬프게 받아들인다며 난색을 표했지만, 실제로는 후원금을 받을 의도가 아니었는지 의혹이 커지고 있다.
<
개청춘> 영화 속에 등장하지 않는 한 씬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, 거기에는 반이다 멤버가 하는 이런 대사가 나온다.
'내가
한 달에 50만원 번다고 하면, 사실 그것도 약간 부풀려서 말한건데, 친구들은, 에이- 거짓말,
50만원 벌어서 어떻게 사냐고 해. 뭐, 이렇게 살고 있는데'.
부디 <개청춘>이 잘 되어 안정적으로 매달 50만원을 벌 수 있는 반이다가 되길 바라본다.
(구라뉴스=반씨 docuvaneda@gmail.com)
*위 기사가 사실과 다르거나 사적 침해가 있다해도 본지에는 책임이 없음을 밝힙니다.
'비정기적인 <개청춘 늬우스>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청춘 늬우스] 칭찬이 고픈 당신, 일하라! (2) | 2010.07.15 |
---|---|
개청춘 늬우스- 신선놀음? (9) | 2009.07.07 |
개청춘 늬우스 - 우리는 '어쩔 수 없어' (8) | 2009.06.22 |
개청춘 늬우스 2탄- 각종 논란과 함께한 시사회 풍경 (10) | 2009.06.10 |
<개청춘> 늬우스~ (4) | 2009.06.04 |